TCP/IP 4계층이란?
TCP/IP 프로토콜을 규격화한 네트워크 계층 모델
기존의 OSI 7계층은 인터넷에서 사용하기에 단계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간단하고 인터넷 서비스에 적합한 모델
1계층: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(Network Access Layer)
물리적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
- 물리적인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정의
- MAC 주소를 사용
- 전송 단위: 프레임
- 대표적인 프로토콜: Ethernet
-> Ethernet: 원칙적으로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유/무선 통신 장비 공유기, 허브 등을 통해 다수의 시스템이 랜선 및 통신 포트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
2계층: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
3계층: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4계층: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, 사용자-소프트웨어 간 소통을 담당하는 계층
- 응용 프로그램들끼리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계층
-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담당
- 예: 이메일, FTP, HTTP 등
TCP/IP 4계층 정리
TCP/IP 4계층 | 역할 | 데이터 단위 | 전송 주소 | 예 | 장비 |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 |
응용 프로그램끼리의 데이터 송수신 |
Data/Message | - | 이메일, FTP, HTTP 등 |
- |
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 |
호스트끼리 송수신 | Segment | Port | TCP, UDP 등 | Gateway |
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 |
데이터 전송을 위한 논리적 주소 및 경로 지정 | Packet | IP | IP, ARP 등 | 라우터 |
네트워크 연결 계층 (Network Access Layer) |
실제 데이터인 프레임 송수신 | Frame | MAC | Ethernet 등 | 브리지, 스위치 |
참고
https://velog.io/@dyunge_100/Network-TCPIP-4%EA%B3%84%EC%B8%B5%EC%97%90-%EB%8C%80%ED%95%98%EC%97%AC
[Network] TCP/IP 4계층에 대하여
두 계층 모두 데이터 통신을 표현한 계층이긴 하지만 OSI 7계층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려고 한 모델이다. 그에 반해 TCP/IP 4계층은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
velog.io
https://aws-hyoh.tistory.com/70
ARP 쉽게 이해하기
주소 결정 프로토콜(Address Resolution Protocol, ARP)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(bind)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. 여기서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는 이더넷 또는
aws-hyoh.tistory.com
https://carnival.tistory.com/58
OSI 7계층과 TCP/IP 4계층
OSI 7계층 OSI 7계층이란, 통신 접속에서 완료까지의 과정을 네트워크 통신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따라 7단계로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. 이를 통해 계층별 기능과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파
carnival.tistory.com
'네트워크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DHCP에 대해서 (0) | 2025.04.10 |
---|---|
[네트워크] 패킷 트레이서(Packet Tracer) 사용하여 네트워크 설정(기초) (0) | 2025.04.09 |
[네트워크]네트워크 프로토콜(이더넷, IP, ICMP, ARP, TCP, UDP) (0) | 2025.04.07 |
[네트워크]네트워크 장비(리피터, 허브, 브리지, 스위치, 라우터) (0) | 2025.04.06 |
[네트워크] OSI 7계층 정리 (0) | 2025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