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HCP 2

[네트워크] DHCP/DNS 서버 설정 및 패킷 흐름 분석(Packet Tracer)

■ 장비 세팅 - 라우터, 스위치, PC, DHCP, DNS, Web Server 세팅하기  ■ DNS 서버 설정 - IP 할당: DNS 서버를 고정 IP로 할당 - DNS 설정 ▷ Services에 들어가 DNS를 선택 ▷ DNS Service Off를 On으로 변경 ▷ DNS 레코드의 이름을 정함 ▷ DNS 레코드의 주소 정하고 Add 클릭  ■ 라우터 DHCP 설정 - 라우터의 CLI에 들어가 명령어 입력 - no: 라우터 설정 - en: Router#이 되어 기본적인 설정이 가능해짐 - conf t: configure terminal로, 설정 모드에 진입 - Router(config)#로 변하게 됨 - int gig 0/0/0 하여 해당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모드로 변환 - ip address (..

네트워크 보안 2025.04.13

[네트워크]DHCP에 대해서

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  ■ DHCP란? - 말 그대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-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에 자동으로 DNS 주소, IP 주소,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 주는 것을 의미함 -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 - TCP/IP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속한 각 호스트의 IP 주소가 중복되지 않아야 함 -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을 막을 수 있음 - DHCP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해야 할 작업을 간소화함  ▷ DHCP 사용 없이는 수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야 함  ▷ DHCP 설정 없이 수동으로 IP..

네트워크 보안 2025.04.10